>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거나 프로그래머로 일하다 보면 자신만의 앱을 만들어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실천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긴 하지만... 제 경우엔 사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출시하게 되었고 생각보다 많은 구성원들이 사용해주셔서 광고를 달아볼까? 하는 생각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ㅎㅅㅎ광고를 게재하는 것에 대해서 막연하게 생각을 했었고 어렵진 않을까 고민했었는데 생각보다 쉬운 절차와가이드들이 준비되어있어 큰 어려움 없이 게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 애드몹에 대해서 설명하고 게재하는 방법에 대해서 잠깐 안내해볼까 합니다.
>
먼저 구글 아이디가 있어야 겠죠...? 구글 아이디와 연동해서 시작할 수 있습니다.구글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시게 되면 게재할 광고의 타입을 정하게 되고 게재하고자 하는 앱을 선택하게 됩니다.따라서, 앱을 먼저 스토어에 게재하여 배포 후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제 경우에도 앱을 먼저 제작하고 구글 스토어에 배포 후 애드몹을 진행하였습니다.광고의 타입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자신이 게재하고자 하는 광고 타입에 따라 게재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제 경우엔 사내에 서비스 하는 앱이다 보니 가장 간단한 배너 광고를 택하여 진행하였습니다.
>
본인에게 맞는 광고를 선택하여 광고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
생성 과정에 나타나는 입력 폼에는 모두 한글로 표시되고 크게 어려움 없이 입력 후 진행하실 수 있을 겁니다.진행이 완료되고 나면 광고의 별칭을 정하게 되고 완료되고 나면 광고 단위가 하나 생겨나게 됩니다.여기에서 광고 단위 ID가 매우 중요합니다.안내드린 대로 앱을 선택하고 광고 단위를 생성하게 되면 앱 ID도 나타나게 되는데 이 정보도 매우 중요합니다.자..이제 광고를 게재하기 위한 준비는 모두 마친 상태가 되었고 이제 실제로 앱에서 광고를 게재하는 소스를추가해서 재배포를 진행해야겠죠..?https://developers.google.com/admob/android/quick-start?hl=ko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위에 링크를 타고 들어가셔서 왼쪽에 시작하기 메뉴에서부터 테스트 광고를 순차적으로정독하시어 앱에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설명이 매우 잘되어있을 뿐 아니라 종속성에 implementation추가 할때 반드시 최신 버전 정보를 적어야 하는데 그게 저기에 명시되어있으므로 위 링크를 통해 진행하시는것이 제일 좋습니다.테스트 광고를 따라하시어 테스트까지 무사히 마치고 나면 애드몹에서 제공한 앱 ID와 광고 ID만 샥 바꿔주고구글에 배포하면 모든게 완료 됩니다.테스트 광고를 먼저 진행하는 것은 말그대로 테스트를 하기 위함도 있지만 테스트를 빙자한 부정 클릭 혹은노출을 유도하여 이익을 취하는 것을 감지하여 계정 정지 먹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반드시 진행해보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테스트 한다고 시뮬레이터 혹은 직접 연결해놓은 기기로 실제 자신의 광고 ID와 앱 ID를 넣고 막 클릭해보거나 하다간계정 정지 먹습니다...
>
테스틑 거친 다음 배부 받았던 앱ID, 광고ID를 입력 후 구글 스토어에 배포하게 되면 광고가 뜨기 시작합니다.참고로 구글 스토어에 게재되지 않게 되면 광고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광고가 뜨기 시작하면 애드몹에 로그인하셔서 그날 그날의 수익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생각보다 수익이 있는 것으로 보아 괜찮은 플랫폼인거 같습니다.참고로 광고가 안뜨거나 테스트 광고에서 문제가 생겼다면 대부분 앱 ID와 광고ID를 잘못 썼을 확률이 높습니다.저 또한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가 이걸로 시간 애법 날려먹었습니다 ㅎㅅㅎ앱 ID 넣는 곳에 광고 ID 넣거나 그 반대로 하거나 그러면 당연히 문제 생기겠죠...? 헷갈려서 잘못 넣으시는 일없도록 두번 세번 확인합시다...